SMALL

전체 글 33

군대에서 즐겨먹던 뽀글이, 라면 봉지에 끓여먹는 것 플라스틱 환경호르몬(내분비교란물질)으로부터 안전할까? 무해한 폴리프로필렌과 유해한 폴리스티렌

Question? 라면을 4등분으로 쪼개고 봉지 윗부분만 열어준 뒤, 스프를 뿌리고 뜨거운 물을 봉지 높이의 반만 붓고 입구를 막는다. 젓가락으로 고정해서 3분 동안 익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먹으면 맛좋고 든든한 한끼! 설겆이할거리도 나오지 않아 좋고 특히 군대에서 불침번을 서고 난 후 많이 먹었더랬는데 건강한 예민한 나는 플라스틱 소재인 라면 봉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환경호르몬이 나오는건 아닐지 궁금해졌다. 즉문즉답 라면 봉지 내부는 환경호르몬 걱정이 없는 플라스틱 재질로 문제가 없다. 다만, 끓는 물을 넣고 더 뜨겁게 하기 위해 전자렌지에 돌려서는 안된다. 100℃를 넘어가는 고온 상태가 되면 플라스틱 재질이 녹아 나온다. Science 라면 봉지 내부, 식품접촉면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

부동산 청약, 추첨제와 가점제, 금일 세종자이 더 시티 기타공급 지원 완료

어차피 안된다고 생각해서 접었던 청약을 다시금 꺼내봅니다. 부동산 불패가 굉장히 맘에 들지 않지만 자꾸 오르니 내집 마련의 꿈은 멀어저만가고 가능성은 실낱 같지만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청약을.. ㅠ 저 같이 30대 초반, 독립한 미혼의 1인 가구는 일단 가점제는 불가능하기 떄문에 추첨제를 노려야하는데요. 추첨제는 어떤 건물이든 상관없이 투기과열지구의 여부와 주거전용면적에 따라 비율이 달라집니다. 위와 같아서 추첨제를 하려면 일단 85m^2 이상으로 지원해야겠습니다. 주거전용면적이란 위에 표시한 전용면적 부분을 보시면 됩니다. 오늘 청약 넣은 세종자이 더 시티입니다. 전용면적이 85를 넘으면서 세대수가 많은 곳이 그나마 당첨 확률이 높겠죠. 물론, 면적 타입 종류가 많아 어디에 몰릴지 눈치게임이긴 합..

끄적끄적 2021.07.28

폭염 더위에 안 쓸수는 없고 전기세는 무서운 에어컨, 어떻게 써야 효율적일까? 끄기 전 송풍은 필수! 냉방과 다른 점

Question? 역대급 폭염 기록을 갱신 중인 요즘, 시원한 에어컨만이 구원인데, 그만큼 전기요금도 만만치 않은 에어컨이죠. 그렇다고 비싸게 산 에어컨을 놀릴 수도 없고,, 켜서 조금 시원해지니 전기료가 부담되어 꺼버리면 바로 또 더워져 버리네요. 어떻게 써야 전기세 폭탄 맞지 않고 효율적으로 쓸 수 있을까요? 그리고 에어컨 설정 모드 중에 냉방, 제습, 송풍의 차이는? 즉문즉답 송풍 전환을 습관화 해야합니다. 일단, 냉방 후 에어컨을 바로 꺼버리면 내부에는 습기가 그대로 남아있어 곰팡이가 생기기 쉽고 쉰내가 나게됩니다. 에어컨을 끄기 전에 송풍 모드 1시간은 필수!! 그리고 송풍 모드는 실외기가 돌아가지 않고 바람만 내보내는 설정으로 선풍기보다도 전력량 소모가 적습니다. 즉, 전기요금이 덜하다는 뜻이..

세대별 코인, 단순 화폐 역할의 1세대 비트코인부터 스마트 계약 플랫폼 2세대 이더리움, 계속 발전 중인 3세대 토큰까지

1세대 코인의 대장 : 비트코인 2009년 출시, 정부가 통제하지 못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화폐, 화폐로서의 기능만 가능, 도지코인, 리플, 비트코인캐시, 라이트코인, 모네로 등 2세대 코인(토큰)의 대장 : 이더리움 2015년 출시, 스마트 계약(거래를 프로그래밍해서 기록)이 가능한 플랫폼, 이더리움의 플랫폼에서 만들어진 스마트계약(dApp)은 코인이 아닌 토큰이라고 부르며 유니스왑, 세타, 파일코인 등 3세대 코인(토큰) : 이더리움의 느린 처리속도, 비싼 수수료, 다른 코인(블록체인) 상호간 연동 불가의 문제점들을 극복 중인 플랫폼 코인(토큰), 에너지 효율이 좋은 친환경 코인 카르다노(에이다, ADA), 거래수수료가 0원인 이오스(EOS), 초당 처리량 5만건을 목표로 하는 솔라나(SOL),..

끄적끄적 2021.07.09

쿠킹 알루미늄 호일(Aluminum Foil)로 감싸고 가열, 조리하면 몸에 안좋을까? 은박지의 활용과 유해성

Question? 알루미늄 호일이 정식명칭, 알루미늄으로 만들었음에도 흔히 은박지라고도 하는 쿠킹 호일 캠핑에서 모닥불에 넣어 익혀 먹는 호일로 싼 고구마, 감자 그리고 식당에서도 버섯, 삼겹살을 호일로 싸서 조리하는 것을 가끔 보는데 발암을 유발한다느니 논란이 많다. 과연 몸에 괜찮은 걸까? 즉문즉답 알루미늄은 발암, 치매, 신경계통 질환을 유발한다. 그리고 산도(Ph)가 낮은 식초, 토마토, 양배추 등의 식품은 알루미늄 용출을 더 가속하고 가열하면 당연히 산화가 심해지니 음식물 속으로 알루미늄 성분이 확산된다. 뜨거운 캔음료의 경우 안쪽 코팅재료에서는 환경호르몬이 나오고 알루미늄 자체 성분도 좋지않아 설상가상,, 편리하지만,, 그냥 가급적 쓰지말자, 심지어 가열하지 않고 그냥 포장할 때조차,, 김밥 ..

운신, 사주 오행분석, 나무 목, 불 화, 흙 토, 쇠 금, 물 수의 특징들 그리고 바넘 효과

재미로 보는 사주입니다. 근데 은근 잘 맞는거 같은게 함정, 자세한 글귀는 바넘 효과일 수 있으니 skip하고 각 오행에 대한 굵직한 특징만 보겠습니다.(바넘 효과는 이하 참고) 저는 위 사진처럼 불(화)가 Max입니다. 화(火)행 : 명예, 출세, 방송, 연예 쪽 성격, 재물욕(재물운 아님)과 열정이 많다. 잘되면 권력자, 연예인 나쁘면 전형적인 관종이려나? 토(土)행 : 전형적인 직장인, 옛말로 관직 운(관운)이 따라준다고 한다. 땅(직장)에 뼈를 묻을 정도로 묵묵히 일하는 성격 금(金)행 : 재물운, 딱히 일을 안해도 궁핍하지는 않고, 빈손으로 나가도 밥 얻어먹을 팔자, 그만큼 남과 잘 어울리는 성격에 상인 쪽이라고 보면 될 듯 목(木)행 : 싹을 튀우고 새로운 것을 추진하는 사업가 수(水)행 : ..

심심이 2021.06.19

5G 스마트폰 위주로 바뀔 세상, VR 메타버스와 함께, 삼성전자의 수주 오이솔루션 & 케이엠더블유 종목 추천

5G 스마트폰 많이들 쓰고 계시죠? 저도 쓰고 있습니다. 근데 4G LTE랑 딱히 뭐가 다른지 모르겠어요.. 네 그것은 아직 5G가 애기 걸음마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신제품 가전들을 사야 겨우 IoT가 동작하는 수준에 VR은 거추장스러운 장비로 한정된 공간에서 밖에 못쓰고 있죠. 요즘 6G 얘기도 많이 나오는데, 5G는 별로 뛰어난 성능도 안보여주고,, 이러다가 6G로 건너 뛰는거 아닌가요? 아뇨,, 4G는 2001년에 개발 중이였고 2009년 12월에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사업자 텔리아소네라(TeliaSonera)에 의해 최초로 상용 서비스가 시작됐습니다. 아직도 4G를 더 많이 쓰고 있는데,, 6G는 이제 개발 초기단계고 5G는 이제 막 상용화가 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 4G LTE로 앱을 받아 ..

끄적끄적 2021.06.19

한국 참여, NASA 유인 달 착륙 프로그램 '아르테미스'와 함께 도지코인(DOGE) 가즈아~ (일론 머스크 Space X)

NASA(미항공우주국)에서 역대 가장 강력한 우주 발사체 "스페이스론치시스템(SpaceLaunch. System)이 완전체로 조립되어 그 첫 발사체가 공개되었습니다. 이 SLS에는 미국에서 보내는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 '아르테미스'가 진행 예정인데, 아르테미스에는 한국도 참여가 확정되었습니다. 첫 발사는 이르면 올해 말!! 아르테미스-1 임무에서는 비행사를 태우지 않은 우주선 '오리온'이 달 궤도 통과 목적으로 발사될 예정입니다. SLS는 코어 스테이즈에는 4개의 강력 엔진이 Clustering(뭉치기)되고 측면에 2개의 고체 로켓 부스터(SRB, Solid Rocket Boster)가 달립니다. SRB조차 자유의 여신상보다 큰 규모에 코어 스테이지는 더 크겠죠?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인류가 ..

끄적끄적 2021.06.18

친환경 관련 국내, 미국 주식 추천주, 비트코인 전력 소모를 충당할 신재생에너지, 조바이든의 정책 기조 Green Energy!

올해 초 취임한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의 정책 기조하면 역시나 친환경입니다. https://quesci.tistory.com/6 미국장 나스닥 500% 익절 버텍스 에너지(Vertex Energy), 바이든 친환경 페니주, 해외주식 세금(배당소 미국장 나스닥에 대한 첫 포스팅의 주자는 버텍스 에너지입니다. 수익률이 무려 543% 600달러 정도 넣고 거의 3천달러(~3백만원)를 수익실현 했습니다. 지금은 8달러 때로 내려왔지만 저는 9달러 넘 quesci.tistory.com 덕분에 얼마 전 미장 나스닥의 버텍스에너지에서도 짭짤하게 수익을 봤었지요. https://quesci.tistory.com/13 비트코인(Bitcoin) BTC, 코인의 시초, 블록체인 지갑, 기능도 성능도 문제, 국가급 전력소..

끄적끄적 2021.06.17

이더리움(Ethereum) ETH 만년 2위 코인, 블록체인 플랫폼의 시초

코인 두번째 포스팅은 비트코인을 잇는 만년 2위 이더리움입니다. 비트코인을 제외하고는 모든 코인을 알트코인이라 하는데 이 중에서는 시가총액 1위입니다. 이더리움은 2015년 7월 30일 러시아계 캐나다인 비탈릭 부테린이 개발했으며 비트코인과 달리 법정 화폐를 대체하는 미래의 화폐가 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미래의 플랫폼이 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된 코인입니다. 좀 더 풀어서 설명하자면 비트코인은 디지털 지갑으로서 코인을 보관하고, 즉각적인 결재 등 화폐 역할만이 가능하지만 이더리움은 이용자가 자신들에게 맞는 상황으로 계약을 만들어 조건이 충족될 때 거래가 진행되는 스마트 계약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을 전화기, 이더리움을 스마트폰에 비유하기도 하구요. 블록체인 지갑주..

끄적끄적 2021.06.15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