끄적끄적

유동성 공급하는 양적완화에 가려진 부채로 인해 테이퍼링은 진행되겠지만 금리인상은 2% 인플레이션, 완전 고용 달성 후 예상, 주식투자가 지금이 적기인 이유

퀘싸이 2021. 6. 9. 22:09
SMALL

 

돈풀기(유동성 공급, 양적완화)

코로나 팬데믹 극복을 위해 시중(기업과 가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돈(유동성)이 과하게 공급(양적완화)되었다. 그래서 주식 시장도 고점을 유지 중이고 기업 실적 또한 증가하고 있다. 여전히 주가에 비해 high valuation인 것은 맞으나 실적 증가폭이 이를 점차 정당화하고 있다.

 

그러니 이제 돈 푸는 것은 그만해도 되겠지? 테이퍼링을 통해 유동성 공급을 멈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음은 금리 인상을 통해 시중에 풀린 돈을 다시 담는 수순이여야하는데,, 테이퍼링 후에도 몇 년간 금리 인상은 미뤄질것 같다.

 

부채

과한 유동성 공급으로 코로나의 어려움은 어찌저찌 극복했으나 자세히 들여다 보면 빚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펜데믹 이후 부채 증가 속도를 보면 그 기울기가 남다를 정도로 가파르다. 거기에 부채 총량도 크게 증가 중

 

이는 전세계 공통된 현상으로 자칫 글로벌 경제 위기를 불러일으킬 트리거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는 것은 각국 중앙은행 정책 입안자들 입장에서 쉽지 않은 선택이 될것이다. 따라서 지금의 과한 부채가 금리인상 시기를 최대한 뒤로 늦추는 역할을 할 것이다.(참고로 2013년 테이퍼링 선언 후 실행까지는 7개월, 이후 금리 인상까지는 2년이 소요됐다.)

지난 1월 공개된 FOMC 의사록을 보면 연준(연방준비제도, 미국 중앙은행)에서 금리인상조건으로 평균 2% 인플레이션과 완전 고용, 2가지를 내걸었다. 이 조건 달성 전까지는 양적 완화를 지속하겠다는 뜻

 

조건 1. 평균 2% 인플레이션

현재 일부 원자재의 공급 부족과 배송지연 등의 유통 문제로 생각보다높은 인플레이션 수치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 건축업, 운송업체들이 비용 상승분을 고객에게 전가한 탓이다. 상당 기간 이 문제가 지속된다면 연준이 이야기한 2% 인플레이션은 달성하겠지만... 원자재 공급 부족이 해결되고 유통망 역시 정상화 되면? 지금처럼 높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하는 것은 어렵다. 물론 언제 해결될지는 모름

 

조건 2. 고용 개선

최근 발표된 연준의 베이지북을 보면 고용에서 다소간의 문제가 발견된다. 기업은 구인난을 말하고 있으나 실업률은 여전히 높다. 서비스업 관련 고용에서 크게 개선이 있었으나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돌아오지 않았고 당장 사람이 필요한 기업에선 결국 인센티브, 임금 상승을 약속하고 있다. 이 노력 덕분인지 최근 발표된 ADP 민간고용 보고서의 지표는 시장의 기대치 68만을 뛰어넘은 97.8만건이였다. 또한 실업수당청구건수는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30만대 진입, 38.5만명으로 집계됐다. 즉, 일자리는 크게 늘고 실업수당청구는 줄었다.

 

하지만 지난 4월의 고용 쇼크에다 제조쪽에선 공급망 이슈와 원자재 부족 등으로 생산차질을 겪고 있어 바로 사람을 채용하진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9월 개학까진 수많은 여성 인력이 당장 복직하긴 어렵다는게 중론이다.

결론

테이퍼링은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있다 하지만 금리인상은 별개로 상당 부분 늦쳐질 수 있다. 연준이 말한 2% 인플레, 고용 조건이 충족되도 10년 물 장기채 금리 인상은 있겠지만 기준 금리 인상은 시행이 어려울 듯하다.

 

우선 테이퍼링 이후 상황부터 챙겨야, 경제주체인 기업 가계 정부의 체력이 바닥인데 금리인상이라니,, 인플레 압력이 가중되 기업들은 이익을 내기 어렵고 여기에 유동성 마저 거둬드리면,, 이에 방점으로 기준금리까지 올리면 최악의 상황이 될 것은 뻔하다.

 

코로나 종식 예감

백신 접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CDC에 따르면 백신 접종자에 대해선 실내외 마스크를 벗어도 된다고 밝혔다. 접종률이 높아감에 따라 경제재개도 빨라지고 있고 이미 코로나로 여러번 락다운을 시행했기에 경제 재개에 대한 욕구는 잔뜩 쌓인 상태다. 최근 유럽 주요국 PMI지표만 봐도 경제 회복에 가속이 붙고 있다.

 

선진국 기준 7~10월 까진 대부분 70% 이상 접종을 완료할터다. 코로나 이후 사람들이 가장 하고 싶어 하는 것은? 단언코 여행!! 하지만, 비행기를 타고 해외로 여행가는건 아직 너무 빠르다. 하지만 투자 시점으론 적절할 듯하다.

사람들이 많이 돌아다니면 원유 소비도 촉진될 것이고, 백화점, 극장가, 호텔, 테마파크 모두 붐빌 것이다. 올해 하반기, 7~10월이 기대된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