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풀기(유동성 공급, 양적완화) 코로나 팬데믹 극복을 위해 시중(기업과 가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돈(유동성)이 과하게 공급(양적완화)되었다. 그래서 주식 시장도 고점을 유지 중이고 기업 실적 또한 증가하고 있다. 여전히 주가에 비해 high valuation인 것은 맞으나 실적 증가폭이 이를 점차 정당화하고 있다. 그러니 이제 돈 푸는 것은 그만해도 되겠지? 테이퍼링을 통해 유동성 공급을 멈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음은 금리 인상을 통해 시중에 풀린 돈을 다시 담는 수순이여야하는데,, 테이퍼링 후에도 몇 년간 금리 인상은 미뤄질것 같다. 부채 과한 유동성 공급으로 코로나의 어려움은 어찌저찌 극복했으나 자세히 들여다 보면 빚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펜데믹 이후 부채 증가 속도를 보면 그 기울기가 남다를..